모니터를 사용하면서 중요하다고 느끼는 점은 모니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화질과 시야각이 아닐까 해요.
저 같은 경우는 사무실에서는 삼성 광시야각 모니터를, 집에서는 구입한지 좀 되는 LG TN 패널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TN 패널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한 점은 편한 자세로 영화라도 보려고 의자에서 몸을 뒤로 젖히면 화면이 어두워진다는 사실이죠. 바른 자세로 모니터를 보면 화면 왜곡이 없지만 조금이라도 자세를 바꾸면 화면 왜곡 현상이 일어나서 편한 자세로 영화볼 때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저렴한 광시야각 모니터라도 사고 싶지만 멀쩡한 모니터를 갖다 버릴 수도 없고, 그렇다고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자니 공간이 협소한 문제가 있네요. 그래서 별 수 없이 당분간은 TN 패널 모니터를 사용해야 할 듯 해요. 얼렁 망가지라고~~~
그리고 다음은 화질. 사무실에서는 모든 사람이 광시야각 모니터를 쓰는건 아닌지라 가끔 모니터 화면으로 디자인 작업물이나 사진 등을 볼 때 다른 동료 모니터와 제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색감이 확 달라 보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광시야각 모니터는 대체로 컬러가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편이지만 TN 패널 모니터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모니터 세팅값마다 색감 차이가 발생하긴 하지만 그래도 광시야각 패널을 모니터가 조금 더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색감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사무 업무용으로는 저렴한 TN 패널 모니터가 적당하지만, 전문적인 작업을 한다던가, 좀 더 좋은 컬러를 보여주는 모니터를 원한다면 광시야각 모니터가 아무래도 필수겠죠.
그래서 각 모니터 제조사마다 모니터의 화질과 자연스러운 컬러 재현을 알리는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그 중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삼성 모니터 SB970이란 제품을 알리는 독특한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어 한 번 소개하고 넘어 갈까 합니다. 이름하여, 삼성 모니터 SB970 0 컬러리얼리즘 프로젝트.
삼성 모니터 SB970은 삼성에서 작년에 출시한 프리미엄 모니터로 자연스러운 컬러와 화질을 보여주며, 디자인도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삼성에서 생산하는 광시야각 PLS 패널을 탑재하고 최적의 화질로 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거쳐서 출시가 된다고 하네요.
삼성 모니터 SB970 컬러리얼리즘 프로젝트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상, 디자인, 포토, 컬러 등 각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모니터가 자연 그대로의 색상을 보여줄 수 있는 실제 실험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름하여 0 컬러리얼리즘 원정대. 모니터와 자연 색상 간의 오차 Zero에 도전한다는 의미에서 0 컬러리얼리즘 원정대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았나해요. 현재는 원정대원이 모여 과연 0 컬러리얼리즘이 가능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실험을 위해 출발하는 모습까지의 영상만 공개됐습니다. 일종의 티저 영상으로 본편은 조만간 나오지 않을까 하네요. 과연 삼성 모니터 SB970에서 보여주는 컬러와 자연의 컬러의 비교를 어떤 식으로 보여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ㅋ
아무튼 모니터의 좋은 화질을 알리는 방법치고는 상당히 독특한데, 이벤트 덕분인지 현재까지는 반응이 좋은 편입니다.
5/31일까지 삼성 모니터 SB970 컬러리얼리즘 프로젝트에 대해 소셜 댓글로 기대감과 함께 자신이 생각하는 컬러리얼리즘이 무엇인지 댓글로 남기면 참여자 모두에게 별다방 커피 기프티콘 준다고 하네요. 시간 남는 분들은 한 번 참여보시길!
* 삼성 모니터 SB970 0 컬러리얼리즘 프로젝트 이벤트
http://www.color-realism.com
<삼성 모니터 SB970 0 컬러리얼리즘 프로젝트 영상>
'일상을 기록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청춘이여, 삼성전자 S 아카데미에서 반드시 삼성 스마트 카메라를 배워라! (0) | 2013.03.13 |
---|---|
삼성전자 S 아카데미에서 반드시 IT청춘이 배워야할 것! 삼성 모니터 SC750 (0) | 2013.03.12 |
IT 청춘은 삼성전자 S 아카데미에서 반드시 스마트PC를 배워라! (1) | 2013.03.07 |
아이유 다이어리 득템하다 (0) | 2011.03.14 |
삼성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 NX11 체험단 모집 (0) | 201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