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 삼성 HMX-H205, 중 : 삼성 HMX-R10, 우 : 산요 작티 CG10)
캠코더 영상 활용 가이드 1-4편, 이번에는 다음 팟인코더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팟인코더는 포털 사이트인 다음에서 제작한 무료 인코더로 인코딩 후 다음 티비 팟에 적합하게 동영상 변환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음 티비 팟에 업로드할 영상만을 인코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IT 기기에서 보기 위해 동영상 변환을 하거나 다른 UCC 사이트에 올릴 용도로 영상을 변환할 때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인코더입니다.
다음 팟인코더의 장점과 단점
제가 꼽고 싶은 다음 팟인코더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동영상 변환 속도입니다. 지금까지 사용해 본 무료 인코더 중에서는 다음 팟인코더가 가장 빠른 변환 속도를 보여줬으며 PC 시스템 자원도 다른 인코더에 비해 덜 차지했습니다. 일반적인 동영상 인코더가 휴대용 기기에 초점을 맞춰서 최대로 지원하는 비트레이트율이 낮은 경향이 있지만 다음 팟인코더의 최대 지원 비트레이트율은 10,240kbps에 달해 동영상 화질을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동영상 인코더 중에서 어느 정도 구색을 갖춘 동영상 편집 기능을 가진 것도 다음 팟인코더의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팟인코더를 이용하면 다음 팟 티비에 500MB까지 영상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은 다음 티비 팟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구미가 당길 부분입니다.
다음 팟인코더의 단점은 인터페이스가 깔끔하지 못하며, 캠코더로 촬영한 인터레이스 방식의 영상에서 가로줄을 없애는 기능인 디인터레이싱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코덱 지원은 WMV9을 지원하지 않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다른 인코더와 비슷한 수준이며 SWF, MKV를 지원하니 프로그램 활용도는 높은 편입니다.
다음 팟인코더 사용법
다음 팟인코더 사용법 역시 다른 인코더처럼 어렵지 않으니 아래 설명을 보고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참고로 아래 설명은 유튜브, 다음, 네이버, 싸이월드 등의 업로드용 기준으로 진행했습니다.
참고로 여러 개의 동영상을 한 번에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동영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 아래 창에서는 인코딩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오른쪽 아래 창에서는 인코딩한 파일의 예상 정보가 나옵니다.
각각의 목적에 맞게 빠른 인코딩 옵션을 선택해도 되고 세부 설정에 들어가 인코딩 옵션을 하나하나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빠른 인코딩 옵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도 무방하지만 좋은 화질로 인코딩을
하려면 세부 설정에서 직접 해주는게 좋습니다.
가장 먼저 할 일은 출력 형식 선택입니다. 여기서는 유튜브 등의 동영상 UCC 사이트에 업로드
하기 위해 AVI 형식을 선택했습니다. 반드시 AVI 형식을 선택할 필요는 없고 MP4, WMV 등
각자 상황에 맞는 출력형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호환성과 성능이 괜찮은 MPEG-4 Divx V5를 선택했습니다.
CBR은 고정 비트레이트, VBR은 가변 비트레이트를 의미하고
1PASS는 한번 인코딩, 2PASS는 두번 인코딩 하는 것을 뜻합니다.
2PASS로 설정하면 화질이 좀 더 낫다고 하지만 1PASS 방식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유튜브는 파일 크기 제한이 2GB인데다 HD 영상을 지원하기 때문에 유튜브에 업로드 할 계획이라면
비트레이트를 6,000kbps로 설정합니다.
다음, 네이버, 싸이월드, 티스토리 등은 100MB까지만 지원하므로 비트레이트를
1,500-2,000kbps 정도에 맞춰주면 됩니다. 만약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길어 파일 크기가
100MB를 넘어간다면 1,500kbps 이하로 비트레이트 수치를 조절합니다.
프레임은 굳이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최적의 화질을 원한다면 LANCZOS 선명한 화질을 선택합니다.
인코딩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으면 다른 두 가지 중 하나를 고르면 됩니다.
원본이 풀HD 영상이고 유튜브 HD에 올릴 영상이기 때문에 해상도는 1280 x 720으로 설정했습니다.
다음, 네이버, 싸이월드, 티스토리 등에 올릴 영상은 화면 비율이 16:9라면 640 x 360으로
화면 비율이 4:3이라면 640 x 480으로 설정합니다.
"화면 비율 유지"에는 별 다른 이유가 없는한 체크합니다.
만약 원본 영상이 720 x 480 SD 해상도이고 화면 비율이 16:9라면 잘라내기/확장을
"16:9"로 확장하기로 설정합니다.
샘플레이트는 CD 음질과 같은 44100 정도로 설정합니다.
돌아갑니다. 이외의 설정은 사용자 판단에 따라 해주시면 되지만 지금까지 설정 정도면 UCC 사이트
업로드용으로 충분합니다.
파일의 정보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변환된 영상을 저장할 폴더를 지정합니다. 아래쪽 폴더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코딩 진행창에서는 미리보기 설정, 인코딩 완료 후 작동 명령 설정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인코딩 완료 후 시스템 종료"에 체크하면 인코딩을 끝난 후 컴퓨터가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저장 폴더로 가서 변환된 동영상을 확인 후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업로드 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다음 팟 인코더 사용법을 간단하게 설명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설정법은 유튜브, 다음 티비팟, 네이버 동영상 등의 동영상 UCC 사이트 업로드용 동영상 변환시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 팟 인코더는 자막 합치기, 로고 삽입, 그리고 간단한 편집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하면 됩니다.
'영상을 만들다 > 동영상 활용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캠코더, 이제는 장롱에서 꺼내자 - 캠코더 영상을 PC에 효율적으로 보관하는 법 (0) | 2010.06.08 |
---|---|
디지털 캠코더, 이제는 장롱에서 꺼내자 - 캠코더 영상 활용 가이드 2-2편 다음 티비팟에 동영상 업로드 하기 (0) | 2010.05.13 |
디지털 캠코더, 이제는 장롱에서 꺼내자 - 캠코더 영상 활용 가이드 2-1편 유튜브(YouTube)에 동영상 업로드 하기 (0) | 2010.03.17 |
소녀시대, 유이, 강민경! 그녀들의 직캠 영상을 플짤(플래시 swf 파일)로 만들어보자 (10) | 2010.02.09 |
디지털 캠코더, 이제는 장롱에서 꺼내자 - 캠코더 영상 활용 가이드 1-5편 곰인코더 사용법 (0) | 2009.12.30 |